목사님 칼럼
성탄절에 대해
성탄절에 대해
성탄절을 지금처럼 지키는 것은 초대교회가 세워지고 바로 시작된 것은 아닙니다. 대략 300년이 지난 다음에 생겼습니다. 처음에는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히시어 우리 죄 값을 치루시고 부활하신에 집중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다보니 예수님이 이 땅에 육신을 입고 오신 것과 인성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이 성육신에 대해서 더 깊어진 의미를 갖기 시작하게 됩니다.
특별히 동방의 기독교인들이 사람의 몸으로 오신 하나님의 불가사의한 사건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성육신으로 오신 예수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면서 교회는 성탄절을 환희와 신비로운 일로써 예수님의 탄생을 축하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우리가 오늘 날 지키는 성탄절에 역사적인 기록으로 남아있는 것은 4세기 초에 이집트 파피루스에 있는 것 최고의 것입니다. 이 파피루스에는 수많은 손자국들이 찍혀 있는데, 이것은 이미 그 파피루스가 많이 사용되었다는 증거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 파피루스는 4세기 초의 성탄절이 1월 6일 저녁부터 7일까지 축하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유는 2세기에 있었던 이단에 속했던 알렉산드리아의 영지주의 추종자들이 예수님께서 세례 받으신 날(1월 6일 또는 10일)을 축제일로 지켰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들은 예수께서 세례를 통하여 신성한 그리스도가 되었다고 믿기도 했습니다. 또한 1월 5-6일 밤엔 이집트 나일강 물이 놀라운 기적의 힘을 일으킨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이들은 이 날을 에피파니(Epiphany) 다시 말해 `현현'이라고 불렀습니다. 하지만 정통적인 기독교인들은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아서 그리스도가 되었다는 것을 믿지는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그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예수님이 세례 받으심과 탄생을 연결시키기 위해서 1월 6일을 축제일로 선택했었던 것입니다. 이 에피파니(현현) 축제는 오랫동안 팔레스틴 지역에서 성대하게 이뤄졌습니다.
성탄절이 1월 6일에서 12월 25일로 바뀐 것은 AD 325년에서 354년 사이에 로마에서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것이 유력합니다. 이 성탄절로 지키도록 공포된 것은 AD 336년쯤이라는 것이 역사가들의 주장입니다. 특별히 요즘 추수감사주일을 우리 추석과 맞추어서 하는 교회나 주장들이 많듯이 12월 25일은 정복되지 않는 태양신을 경배하는 이교도들의 빛의 축제일이었기 때문에 선택되었던 것입니다. 당시 기독교 지도자들은 이빛의 축제가 진정으로 세상을 구원하는 빛은 주님이라는 믿음을 갖고 세상의 진정한 빛 되신 예수 그리스도께 드려지는 것이 합당하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성 암부로스는 `그리스도는 우리의 새로운 태양이시다'라고 말했습니다. 한동안은 태양의 축제를 그리스도의 성탄절에 통합한 것이 많은 혼란을 주었던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성탄절을 12월 25일로 확정지은 것은 기독교 진리를 대변하는 황금의 입으로 일컬어지는 크리소스톰 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태어날 당시 출생일시를 정확히 어디에 남긴다는 것은 헤롯이 아기들을 잡아 죽이는 형편에서는 어리석은 것입니다. 그러나 진정한 성탄은 자신들의 심령을 열고 그분을 구주로 모실 때만 이루어집니다.

김경숙
작성일
김경숙님의 댓글

이선용
작성일
이선용님의 댓글